정보화진흥원 ‘2020년 ICT 이슈와 9대 트렌드 전망’ 보고서

(서울=연합뉴스) 정윤주 기자 = 2020년부터 10년을 이끌 핵심 정보통신기술(ICT)은 바로 인공지능(AI)이라는 전망이 나왔다. 한국정보화진흥원(NIA)은 이런 내용을 담은 ‘2020년 ICT 이슈 와 9대 트렌드 전망’ 보고서를 내고 ‘2020년 ICT 기반 9대 트렌드’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.

‘2020년 ICT 9대 트렌드’로는
▲ AI 시대의 서막
▲ 산업 성장을 견인할 5G, 자율주행차
▲ 신뢰 기술로 떠오르는 블록체인
▲ ‘인싸’가 된 가상 세계
▲ 개인 로봇의 부상
▲ 불필요한 적기조례(Red Flag Act)를 거둘 타이밍
▲ 페이크데믹스(Fake-demics·가짜뉴스 전염병)의 확산 경계
▲ 불안한 기술 위험(Tech Risk)
▲ 맞춤의료 기술 수요의 급성장이 뽑혔다.

정보화진흥원은 이 가운데 ‘AI 시대의 서막’을 가장 중요한 트렌드로 꼽고 AI가 2020년대를 이끌 핵심 기술이라고 분석했다.

글로벌 저성장 경제와 산업의 파괴적 혁신 등 불확실성이 커지는 현 상황에서 AI가 새로운 성장 모멘텀과 핵심이며,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 AI 시대가 가속할 것이라고 NIA는 설명했다.

또 NIA는 AI가 산업 전 분야에 파급돼 산업 경쟁 구조를 바꿀 것이라고 내다봤다.
NIA는 2018년 2월 글로벌 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(PwC)가 발간한 보고서를 인용, 2030년대 세계 GDP는 114조 달러로 추정되고, AI를 활용하면 GDP가 14%(약 15조7천억 달러)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.

또 NIA는 5G(세대) 기술과 자율주행차를 두 번째 핵심 기술로 꼽고, 5G 기술이 탑재된 TCU(차량용 통신 장비)가 발달하면서 늦어도 2022년까지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자동차가 상용화할 것으로 내다봤다.

문용식 NIA 원장은 “이번에 선정된 트렌드 중에는 5년, 10년을 바라봐야 할 주제들이 있다”며 “첨단 ICT 기술의 잠재력을 극대화해 혁신성장과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하겠다”고 말했다.

2020년 ICT 기반 9대 트렌드 전망
2020년 ICT 기반 9대 트렌드 전망
[한국정보화진흥원 제공]

jungle@yna.co.kr
(끝)


<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!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!>
<저작권자(c) 연합뉴스, 무단 전재-재배포 금지>